본문 내용
IT 컨설팅
ERP컨설팅
개요(Overview)
uniERP 적용 방법론은 기업의 모든 운영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많은 구축 경험과 WEB환경에서의 최적화된 절차와 산출물의 정의 등 다양하고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는 uniERP패키지의 구축 방법과 절차를 기술한 방법론
구축경험을 바탕으로 한 표준 방법론
프로젝트 별(업종별,고객별) 특화된 부분을 적용하기 위한 SPM Template제공
방법론의 현장활용도 극대화
사례중심의 산출물 관리 방법 가이드라인
단계
단계별 최적의 프로세스 제공
- 프로젝트
착수 - 요구분석
- 패키지
시뮬레이션 - 설계
- 개발
- 구현
- 프로젝트
완료
uniERP적용 방법론 특징
uniERP 적용 방법론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PM과 컨설턴트가 충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특징 갖고 있음
- 업종 및 고객의 수준에 맞게 선택 적용 가능한 표준 방법론
- 패키지 기반 방법론으로서 솔루션이 제공하는 기본 기능 외의 추가 요구 사항이 없을 경우 설계 및 개발 단계는 생력 가능
- 패키지 외 요구사항 구현을 위한 설계/개발 공정은 IE계열의 방법론 공정 도입
- 철저한 교육과 훈련의 기본 사상으로 고객의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절차와 툴 제공
- 납기단축의 주 원인인 고객의 비 가동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정 및 산출물 제시
-
- 프로젝트 착수
- 프로젝트계획서작성, 환경구축, 착수보고
-
- 분석
- 업무분석, Mapping, GAP도출 및 분석, 신규프로세스 정의
-
- 적용
- 추가개발 설계 및 개발 Configuration정의
-
- 구현
- 시범운영
-
- 프로젝트 완료
- 프로젝트 결과 정리
-
- 프로젝트 착수
- 착수준비
- 계획수립
- 계획확정
-
- 요구분석
- 교육수행
- uniERP적용 업무분석
- 패키지 외 업무분석
-
- 패키지시뮬레이션
- 기준정보 적용
-
- 고객검증
- 교육훈련
- Proto Typing
- GAP정의
-
- 설계
- TO-BE정의
-
- 개발
-
- 구현
- 시범가동
- 본 가동
- 결산확인
-
- 프로젝트완료
- 완료확인
- 완료보고
- 행정종료
- 프로젝트 단계 점유율 구성의 변동
- uniERP기본기능의 업무와 패키지 외 업무를 분류
- 설계 및 개발단계의 구체화
- 결산확인 Activity활동을 통한 고객검증체계 강화
- 현장활용 극대화를 위한 Attachment강화
※ 예) 단계별 권고 점유율 (프로젝트 : 6개월, 20MD/월)
프로젝트착수 | 요구분석 | 패키지시뮬레이션 | 구현 | 프로젝트완료 |
---|---|---|---|---|
8 % | 9 % | 24 % | 50 % | 9 % |
9.6 | 10.8 | 28.8 | 60(34/26) | 10.8 |
공정 흐름도(Process Flow Diagram)

uniERP 적용 방법론은 7 단계(Phase), 19 액티비티(Activity)로 구성되어 있음
프로젝트 착수
영업/제안/계약 단계에서 수행한 결과물을 토대로 분석된 프로젝트의 다양한 제약조건과 가정을 고려하여 프로젝트 관리의 영역별 상세한 계획을 수립
요구분석
- 시스템이 적용될 조직의 구조와 연관 관계 분석을 통하여 AS-IS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, 개선프로세스(TO-BE)를 정의.
- 현 시스템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, 시스템 개발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고, 고객, 사용자, 개발자 간에 대상 업무 도메인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며, 사용자 요구사항을 정의하고, 시스템 범위와 우선 순위를 정의.
패키지 시뮬레이션
- 사용자로부터 정의된 요구사항을 uniERP프로세스 및 운영방법 관점에서 몇 단계의 교육을 통해 구체화하고, 상세화 함으로서 시스템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고,
- 구축할 uniERP시스템의 구조를 정의하며(Configuration), uniERP의 실습교육과 Proto Typing을 통해 모듈별 GAP 및 대응방안을 확정하며,
- GAP대응방안 결정에 따라 고객의 신규프로세스를 확정하고, 구체적인 적용(신규 개발 및 Configuration적용 등)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.
설계
패키지 시뮬레이션 단계에서 정형화된 사용자 요구사항을 구현할 시스템 내부 구조를 설계
개발
작성된 설계 산출물을 바탕으로 해당 플랫폼에 맞춰서 코딩
구현
- 패키지 시뮬레이션 단계에서 정의된 업무 범위와 운영방안 그리고 설계 및 개발단계에서 테스트 완료된 최종 uniERP시스템을 기준으로 시범가동을 실시하며,
- 시범가동을 통해 도출된 본 가동의 예상 문제점을 조치한 후 본 가동을 수행하고,
- 최종적으로 uniERP시스템을 통한 결산작업을 수행하고 시스템 검증.
프로젝트 완료
- 최초 고객에게 제출하기로 약속한 프로젝트 산출물에 대하여 고객 인수책임자의 검수 및 승인을 받고,
- 프로젝트 종료 후 고객이 안정적으로 제품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A/S 또는 유지보수 계획을 고객과 함께 수립하고,
- 최종 프로젝트 산출물을 입고 시키고 결과에 대한 정보를 공유(문서관리 시스템, Repository)
방법론수행공정
프로젝트 착수
- 프로젝트착수
- 요구분석
- 패키지시뮬레이션
- 설계
- 개발
- 구현
- 프로젝트완료
목표
영업/제안/계약 단계에서 수행한 결과물을 토대로 분석된 프로젝트의 다양한 제약조건과 가정을 고려하여 프로젝트의 관리 영역별 상세계획 수립
수행범위(ProcessScope)
- 착수준비 : 프로젝트 행정처리, 업무범위 정의, 개발환경 구축, SPM정의
- 계획수립 : 프로젝트 계획의 영역별 내용 작성
- 계획확정 : 프로젝트 진행 방향에 대한 보고회 실시
공정도

요구분석
- 프로젝트착수
- 요구분석
- 패키지시뮬레이션
- 설계
- 개발
- 구현
- 프로젝트완료
목표
기본적인 패키지 교육과 실습교육, 업무조사를 통하여 정확한 고객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최종적으로 적용 범위를 확정
수행범위(ProcessScope)
- 교육수행 : 모듈개념교육 및 시스템소개, 업무조사, 관리기준 정의
- uniERP적용 업무 분석 : 현행업무 프로세스 분석 및 요구사항 정의
- 패키지 외 업무분석 : uniERP패키지 기본업무 외 추가기능의 업무정의, 인터페이스 정의 및 패키지 외 프로세스 확정
공정도

패키지시뮬레이션
- 프로젝트착수
- 요구분석
- 패키지시뮬레이션
- 설계
- 개발
- 구현
- 프로젝트완료
목표
확정된 적용 범위를 기준으로 데이터 Setting과 모듈별 관리기준 설정 과정을 통하여 검증작업을 한 후 최종적으로 고객의 신규 프로세스를 정의
수행범위(ProcessScope)
- 기준정보 정의 : 기준정보 자료 정리 및 입력, 모듈별 관리기준 설정, 자료 컨버젼
- 고객 검증 : 모듈별 GAP대응방안 도출 및 수립, 신규 프로세스 확정
공정도

구현
- 프로젝트착수
- 요구분석
- 패키지시뮬레이션
- 설계
- 개발
- 구현
- 프로젝트완료
목표
시범가동을 통해 현업 운영교육과 본 가동을 위한 사전점검 과정을 거친 후 본 가동을 수행하고 결산업무를 점검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실질적인 시스템 구축을 완료
수행범위(ProcessScope)
- 시범가동 : 시범적용을 통한 검수의뢰 및 승인, 본 가동 준비
- 시본 가동 : 본 가동 및 산출물 정리
- 시결산확인 : 최종 ERP Data 결과 점검
공정도

프로젝트 완료
- 프로젝트착수
- 요구분석
- 패키지시뮬레이션
- 설계
- 개발
- 구현
- 프로젝트완료
목표
ERP Data로 최종 결산확인과 개별인수 확인 과정을 통해 고객과 상호 프로젝트 수행을 공식적으로 완료하고 행정적으로 종료처리
수행범위(ProcessScope)
- 프로젝트 완료확인 : 개별인수확인서 날인과 MA지원내용 협의
- 프로젝트 완료보고 : 프로젝트의 공식적이 완료보고회 행사 시행
- 행정종료 : 산출물 보고 및 행정종료와 정보공유
공정도
